학술지

[제4권 제5호]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 매개효과

작성일
2025-03-25
작성자
운영자
조회
37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 매개효과
The Effect of Parental Attitudes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on Resilienc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변우현 † ⋅조상호 †† ⋅박정환 ††† ⋅고은실 ††††
Woo hyun Byeon † ž Sang ho Jo †† ž Jung hwan Park ††† ž Eun sil Ko ††††

요 약
본 연구는 제주도에 있는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부모양육태도가 자녀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주요 목적은 대학생의 건강한 적응을 위한 자료 제공이다. 연구 문제는 첫째, 부모양육태도, 회복탄력성, 자아존중감 간의 상관관계와 둘째, 부모양육태도와 회복탄력성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이 다. 314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진행된 이 연구는 부모양육태도 척도, 회복탄력성 척도, 자아존중감 척도를 사용하였고, 수집된 데이 터는 jamovi를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부모양육태도와 회복탄력성, 자아존중감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자아존 중감은 과보호적 양육태도에서 회복탄력성을 완전 매개하고, 거부적 및 애정적 양육태도에서는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적으로, 본 연구는 대학생의 회복탄력성을 높이기 위해 긍정적인 부모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 형성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또한, 교육이나 상담 개입을 통해 부모의 부적절한 양육 아래에서도 긍정적 자아존중감을 형성할 수 있는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대학생의 회복탄력성을 높이는 프로그램 개발 및 부모와의 상호작용이 개인의 심리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데 기여할 것이 다.

주요어 : 대학생, 부모양육태도, 회복탄력성, 자아존중감, 매개효과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mpact of perceived parental attitudes on the resilience of college students attending universities in Jeju Island, as well as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The main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provide data for the healthy adaptation of college students. The research questions are: first,what are the correlations among parental attitudes , resilience, and Self-Esteem? Second, is there a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yles and resilience? Conducted with 314 college students, this study utilized scales for parental attitudes, resilience, and Self-Esteem,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jamovi. The results indicated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perceived parental attitudes, resilience, and Self-Esteem. Self-esteem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overprotective parental attitudes, and resilience, while it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s for rejecting and affectionate parenting styles. In conclusion,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positive parental attitudes, and the formation of Self-Esteem in enhancing college students' resilience. It also suggests the necessity for educational or counseling interventions that can foster positive self-esteem even under inadequate parenting. The findings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programs aimed at increasing resilience among college students and understanding the impact of interactions with parent so individual psychological development.

Keywords: Collge students, Parental Attitudes, Resilience, Self-Esteem, Mediating effect.

이메일주소 무단수집거부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 이용 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길 바랍니다.

닫기